코인상장 크립토허브 에어드랍 크립토허브 cryptohub 코인뉴스
페이지 정보

본문
미국 코인판 주식시장을 코인판으로 만든 트럼프.. 진짜 할 말이 없네요나스닥 주가 (내가 꿈을꾸나)미국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국가에게 관세 유예 (90일) 뉴스와 동시에 나스닥 주가 이렇게 뛰었습니다.전체 나스닥 지수가 +11%를 찍은건 진짜 처음보네요....엔비디아는 15% 이상 올랐고, 테슬라는 21% 넘게 올랐습니다.CNN미국 현지에서도 이 사태 (중국 관세125% 부과 + 나머지 국가 90일 유예)에 대해 속보로 보도하고 난리도 아닙니다.지난 18~19년 미중 무역분쟁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네요. 결국 미국 ->중국 125% vs 중국 ->미국 84% 관세가 부과됐습니다.먼저 과거를 복기해보고, 이번 2025년 미국 중국 관세 전쟁을 톺아볼게요2018~2019년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파란 실선이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관세미국은 2018년 트럼프 1기 집권 이후 관세를 만지작 거리다가 3%대였던 중국에 대한 관세를 단기간에 20% 넘게 코인판 올려버렸습니다.2018년도 시작 2020년 종결2018년 당시 미국이 먼저 34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때렸고, 똑같이 중국도 보복관세를 했습니다.그리고 2019년까지 1년 내내 서로 품목을 바꿔가며 관세를 추가했죠.이때만 하더라도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항목이 제한되어 있었고, 관세 규모도 25% 추가 이후 +5~10% 정도 수준에 불과했죠. 전체 규모로 따지면 20% 조금 넘는 수준이었습니다.당시 미국이 중국에 관세를 부가했던 이유는 중국의 환율조작 및 기술력 갈취 때문이었습니다 (중국으로 패권이 넘어가는 걸 막으려고) 당시 S&P500 지수2018년 1월 2,870포인트였던 S&P500은 한달만에 340P가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쭉 올랐다가 다시 빠지기를 반복하며 반년 (6개월) 동안 등락을 반복하며 바닥을 다지면서 올라갔고, 2018년 8월 다시 전고점을 회복했습니다.한달 동안 약 12% 빠지고, 코인판 회복하는데 반년이 걸린 겁니다.S&P500이 이정도니 나스닥 변동성은 더 심했죠...지금은 그때와 비교도 안되는 관세 부과기껏해야 당시엔 엎치락 뒷치락 보복 관세하며 20~25% 정도를 부과했지만, 2025년 현재 미국과 중국 무역전쟁은 차원이 다릅니다.출처 : 뉴스원미국은 중국에게 처음 10% 기본관세를 붙였다가, 그 후 추가관세 10% 거기에 상호관세 34% 추가발표 하면서 총 54% 부과했습니다. 이때만해도 미쳤다고 했는데, (당시엔 관세 부과 이유를 펜타닐 이슈로 몰고 가기도 했음)4월 4일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34% 추가관세 때리자 트럼프는 상호관세를 84% 인상해 무려 104%의 관세를 날렸습니다.연이어 중국이 미국에 84% 보복관세를 날리면서 현재 미국 ->중국 수출품에는 84%의 관세가 붙고, 중국 ->미국 수출품에는 104% 관세가 붙게 되었습니다.최대의 피해자는 애플이되겠네요;애플과 폭스아이폰의 80~90%는 폭스콘 중국공장에서 코인판 만들어집니다. 대만 회사지만 생산 기지는 대부분 중국에 있죠.즉, 관세가 발효됨에 따라 앞으로 미국에서 아이폰 가격은 현재 가격의 2배 이상이 될 전망입니다. 미국 현지에서 아이폰 최상급 플래그십 16프로가 1599달러 (한화 약 237만원)인데... 이제 3,200달러가 넘을 겁니다 (500만원 육박)아이폰이 500만원이면....? 과연 미국인들이 살까요?주가만 봐도 딱 티가 납니다. 222달러 하던 애플 주가가 지금 프리마켓에서 170달러 정도하니 약 52달러 빠졌네요 약 5일만에 23% 넘게 빠졌습니다.애플이 이정도고, s&p500은 전고점인 6,147에서 4,835까지 빠졌으니, 21%가 빠진 셈입니다 (지난 무역 분쟁 12%는 약과네요)관세 한번 살벌하네요...갑자기 90일 유예그리고 중국에만 125% 관세(중국이랑 전쟁할껴...?)월스트리트저널트럼프는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의 관세를 90일 유예하고, 중국만 125%로 늘렸습니다 (10% ->20% ->54% ->84% ->125%)미친 변동성-4% 하던 코인판 나스닥, s&p500, 다우지수가 10% 가까이 뛰어 버리네요... 진짜 미친 변동성입니다. 짧은 주식 경력이지만 이건 첨 보네요...다 팔아치움저는 새벽에 다 팔아치웠습니다. (싸면 더 사려고 분할매수 들어갔던 SOXL도 팔고, 헷징하려고 샀던 2배 인버스(QID)도 팔았고, 조금 가지고 있던 테슬라도요어이없는게, 3배 레버리지 (SOXL)도 수익이고, 2배 인버스 (QID)도 수익입니다. 주가가 마이너스 치고 있을 때, 예약 매도 걸어놨던 인버스가 팔려버렸고, 주가가 고점일 때, 3배 레버리지를 팔았다는 말입니다.극심한 변동성을 한눈에 보여주죠왜 미국은 중국에게이렇게 가혹하게 관세를 부과할까?트럼프가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를 부과하는 이유는 미국의 재정적자를 막기 위함입니다.미국이라고 깡패처럼 달러를 찍어낼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국채를 발행하고 그 국채를 팔아서 달러를 만들어 냅니다. 국가에서 발행하는 채권이니 매달 약정한 이자를 코인판 줘야되죠.미국이 천조국이라 불리는게 국방비가 1천조원이 넘기 때문인데, 미국 정부의 국채 이자비용은 이미 2024년 천조를 넘겼습니다. 국방비 보다 더 심각한 지출이죠;지금 미국의 국가부채 (채권 포함)는 37조달러에 육박합니다. 뭐 감도 안잡히는 숫자인데, 5경 4,634조원으로 미국 전체 GDP의 122%가 넘습니다. 연간 재정적 지출이 7조 달러인데 세수는 5조 달러이니 지금도 2조 달러의 국채를 찍어내고 있습니다.트럼프는 이 재정적자의 이유를 불공정한 무역 때문이라 판단하고 미국이 손해보는 금액 만큼 관세로 되돌려 받고자 한 겁니다. (상호관세라는 표현을 미국이 쓴건데, 자기네가 손해보기 때문에 상호 공정한 무역을 위해 때리는 관세라는 뜻으로 상호관세를 씀)그래서 관세를 수술이라고 표현했고, 미국은 환자였지만 이제 더 강해질거라며 MAGA (Make Ameria Great Again)을 외치고 있는 겁니다.일각에선 금리를 코인판 낮추려고 일부러 침체를 유발한다고 하는데....일각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이유를 일부러 경기침체를 유발해 기준금리를 낮추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경기가 위축되면 금리 인하로 유동성을 풀어야 되므로)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국채 금리 부담도 줄어드니까요.하지만 그건 말이 안됩니다.만약 진짜 미국 경기가 침체되면, 그거 살리느라 다시 국채를 더 찍어내야 되는데, 지금 모든 원인이 국채이므로 그러진 않을 겁니다. 갑작스런 주가 폭등현재 문제가 해결 되었나?절대 아닙니다.중국에 대한 관세는 더 심해졌고 (말도 안되는 125%), 다른 국가에 대해서는 유예됐을 뿐입니다.오히려 애플은 빠져야 정상인데, 애플도 덩달아 9%오르는 중입니다.(비정상이라는 말임)그래서 저는 레버리지랑 테슬라 다 팔고, 나스닥 2배 인버스 QID를 조금 담았습니다. 38.2달러에 88주 (한화 약 500만원) 담아봤습니다. 큰 돈은 아니지만 일단 당장은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하고 코인판 인버스를 샀습니다.비정상적인 주식 시장에선 비정상적으로 대응해야겠죠개인적으로 시장은 우상향할거라 믿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상황에서의 상승은 비정상적이라 봅니다.중국이나 미국 한쪽이 포기한게 아니라 강대강으로 맞 붙으면서 단순하게 미국이 다른 국가 관세를 90일 유예했을 뿐인데.. 이런 변동성이라니...참고로 관세는 트럼프 한마디면 다시 바뀔 수도 있는 건데 말이죠(관세 철폐가 아니라 관세유예인데....)이미 시장은 지난 미중 무역분쟁을 겪었기 때문에 어느정도 내성은 생겼습니다.하지만 18년도 무역분쟁이 20~25% 관세를 가지고 놀았다면, 지금은 이미 중국에 대한 미국의 관세가 125%를 넘겨버렸습니다. 아무리 내성이 생겼다고 해도 이건 난도질 수준이니... 앞으로 증시는 어떻게 흘러갈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모쪼록 잘 대응하시기 바랍니다.누구 말마따나 3달 뒤 미국에서 곡소리 나면 트럼프 탄핵이고, 미국에서 아무소리 안나면, 트럼프가 신격화 되겠네요...
코인판- 이전글평택 브레인시티 메디스파크 대광로제비앙 모아엘가 6BL 모델하우스 분양안내 25.08.10
- 다음글텔레@sta79m위치추적 말못할고민해결 25.08.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